정보,뉴스

김정은의 신형 구축함: 북한 해군의 야심찬 도약

만두맨의 피서지 2025. 4. 26. 15:16
반응형

2025년 4월 25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포조선소에서 열린 5,000톤급 신형 구축함 ‘최현급’ 진수식에 참석하며 북한 해군의 현대화를 강조했습니다. 이 구축함은 북한이 건조한 가장 큰 전함으로, 첨단 미사일 시스템을 탑재해 원양 작전 능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보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신형 구축함의 특징, 김정은의 전략, 군사적 의미, 대중 반응, 그리고 지역 안보에 미칠 영향을 다섯 개 문단으로 정리했습니다.


신형 구축함 ‘최현급’: 사양과 특징

 

‘최현급’ 구축함은 길이 약 140m, 배수량 5,000톤으로 북한 해군의 기존 최대 전함(1,600톤급 나진급 호위함)을 훌쩍 뛰어넘습니다. 이 전함은 수직발사체계(VLS)를 장착해 전술탄도미사일, 초음속 전략미사일, 대공미사일을 운용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주포는 127~130mm로 추정되며, 연돌 후방에는 판치르-M 유사 복합 근접방어체계(CIWS)가 탑재된 것으로 보입니다. 함번은 51번으로 확인되었으며, 고정형 위상배열 레이더와 같은 현대적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 구축함은 2026년 1월까지 시험 운용을 거쳐 실전 배치될 예정입니다.


김정은의 전략: 원양함대와 해군 현대화

 

김정은은 진수식에서 “원양함대 건설은 국가 주권과 전쟁 준비의 핵심”이라며 이 구축함이 북한 해군의 현대화와 원양 작전 능력 강화를 상징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2021년 노동당 8차 대회에서 핵추진 잠수함과 함께 대형 전함 개발을 지시한 바 있으며, 이번 구축함은 그 계획의 일환입니다. 김정은은 미국과 한국의 합동 군사훈련을 “전쟁 준비”로 규정하며, 이 구축함이 선제 타격과 보복 능력을 갖춘 전략적 억제 수단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한 신형 구축함을 기반으로 해군 기지를 확충하고, 다음 목표로 핵잠수함 개발을 언급했습니다.


군사적 의미: 북한의 기술력과 러시아 지원

 

북한의 신형 구축함은 유엔 제재에도 불구하고 첨단 무기체계를 개발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기술 지원 가능성을 제기하며, 2024년 북러 군사협력 강화 이후 미사일 시스템과 레이더 기술이 이전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 구축함은 기존 북한 해군의 연안 방어 중심 전략에서 벗어나 원양 작전과 미사일 투사 능력을 갖춘 전력으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일부는 북한의 조선 기술과 자원 부족을 고려할 때 실질적 운용 능력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평가합니다.


대중 반응: 자부심과 회의적 시각

 

북한 내부에서는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최현급 구축함이 국가 위상을 드높였다”며 선전이 이어졌습니다. 반면, 한국과 국제사회에서는 엇갈린 반응이 나왔습니다. X에서는 “북한이 5,000톤급 구축함을 만들 기술이 있나”라는 회의적 의견과 “K리그도 아닌데 알힐랄급 전력을 꿈꾼다”는 조롱이 섞였습니다. 한국 팬들은 “광주FC도 알힐랄 못 이겼는데, 북한이 알힐랄급 전함을?”이라며 농담을 주고받았습니다. 그러나 일부는 “북한의 무기 현대화가 지역 안보에 위협”이라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지역 안보와 전망: 위협과 한계

‘최현급’ 구축함은 한국, 미국, 일본의 해군 전력에 비하면 여전히 열세지만, 미사일 투사와 비대칭 전술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이 전함의 실질적 전투력을 평가 중이며, 구축함의 운용 능력은 2026년 이후 드러날 것으로 보입니다. 김정은은 이 구축함을 통해 북러 협력을 과시하고, 핵잠수함 개발로 이어지는 해군 현대화 로드맵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자원 부족과 기술적 한계는 여전히 과제입니다. 이 구축함은 북한의 야심을 보여주지만, 실질적 위협으로 자리 잡을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