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뉴스

서울 시내버스 노사 협상 논란: 2025년 4월 29일 최신 상황

만두맨의 피서지 2025. 4. 29. 19:29
반응형

서울 시내버스 노사 협상이 임금 인상과 통상임금 범위 조정을 둘러싼 갈등으로 난항을 겪으며, 2025년 4월 30일 새벽부터 파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통상임금에 격월 보너스 포함과 정년 연장(63세에서 65세)을 요구하고 있으나, 서울시와 사측은 재정난과 임금 체계 개편을 이유로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협상이 결렬되면 서울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에 큰 혼란이 예상됩니다. 이 글에서는 협상의 배경, 주요 쟁점, 서울시와 노조의 대응, 대중 및 X 반응, 그리고 향후 전망을 다섯 문단으로 정리했습니다. 정보는 2025년 4월 29일 기준 웹 자료와 X 게시물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협상 배경: 반복되는 파업 위협

 

서울 시내버스 노사 협상은 2024년 3월 총파업(11시간 만에 종료) 이후 2025년에도 계속된 갈등의 연장선입니다. 매일경제(4월 22일)는 노사 협상이 4월 11일부터 본교섭을 시작했으나, 9차례 협상에도 입장 차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약 1만 8,000명, 65개사 소속)은 4월 28일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96.3% 찬성(투표율 84.9%)으로 파업을 결의했습니다. KBS뉴스(4월 28일)는 협상이 4월 29일 자정까지 타결되지 않으면 4월 30일 새벽 4시 첫차부터 파업이 시작된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 12.7% 임금 인상 요구가 4.48%로 조정된 전례처럼, 노조는 강경한 자세로 협상에 임하고 있습니다. X에서는 “또 파업이냐, 시민만 피해”라는 불만이 나왔습니다.


주요 쟁점: 통상임금과 재정난

 

협상의 핵심 쟁점은 통상임금 범위와 임금 인상입니다. 노조는 2024년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고정성 요건 폐지, 격월 보너스 포함)을 근거로, 격월 기본급 100% 수준의 보너스를 통상임금에 포함해 퇴직금과 초과근무 수당을 증액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4월 22일)는 보너스 포함 시 운전기사 1인당 평균 임금이 15% 상승, 연간 1,700억 원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고 보도했습니다. 반면, 서울시는 시내버스 운영 적자가 연간 5,000억 원, 누적 부채 1조 원에 달해 재정 부담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습니다. KBS뉴스(4월 29일)는 사측이 임금 체계 변경과 통상임금 축소를 주장하며 협상이 교착 상태라고 전했습니다. 노조는 추가로 정년 연장을 요구하며 압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노조의 대응: 긴급 대책과 강경 입장

 

서울시는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습니다. KBS뉴스(4월 28일)는 지하철 운행을 하루 202회 늘리고, 출퇴근 시간대를 1시간 연장하며, 주요 역에서 무료 셔틀버스를 운영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서울시는 협상 결렬 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17개 주요 역(잠실역, 서울역 등)에 인력을 배치할 계획입니다. 반면, 노조는 협상이 결렬되면 파업 또는 준법투쟁(안전운행)을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4월 26일)는 노조가 “임금 인상과 정년 연장은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라며 강경한 입장을 유지한다고 전했습니다. 4월 29일 오후 5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최종 조정 회의가 열리며, 합의 여부가 결정될 전망입니다.


대중 및 X 반응: 불편 우려와 노조 비판

 

대중과 X 반응은 파업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노조에 대한 비판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X에서는 “파업하면 출근길 지옥”(@user1), “시민 볼모로 노조 이기주의”(@user2) 같은 불만이 이어졌으며, “노조도 먹고 살아야지, 재정난은 시가 책임져야”(@user3)라며 노조를 옹호하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매일경제(4월 22일)는 지난해 파업으로 아침 출근길에 큰 혼란이 발생했으며, 특히 강남역과 여의도역에서 승객이 몰려 안전 우려가 제기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시민들은 “지하철도 늘려놓고 셔틀도 준비했지만, 버스 없으면 불편은 피할 수 없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노조의 반복적 파업 위협에 “매년 같은 레퍼토리”라는 피로감도 감지되었습니다.


향후 전망: 협상 결과와 시민 영향

4월 29일 오후 5시 시작된 최종 조정 회의 결과에 따라 파업 여부가 결정됩니다. KBS뉴스(4월 29일)는 협상이 타결되면 파업이 철회되지만, 결렬 시 4월 30일 새벽부터 서울 시내버스 7,210대(전체 97.6%)가 운행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서울시는 재정난을 이유로 통상임금 확대에 난색을 표하고 있어 타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4월 26일)는 노조가 준법투쟁을 선택하더라도 운행 지연으로 시민 불편이 불가피하다고 보도했습니다. X에서는 “협상 타결되길, 또 혼란 겪기 싫다”(@user4)라는 바람이 나왔습니다. 이번 협상은 서울시의 대중교통 정책과 노사 관계의 향후 방향을 가늠할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