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뉴스

김문수 후보 교체: 국민의힘의 초유의 사태

만두맨의 피서지 2025. 5. 10. 12:49
반응형

2025년 5월 10일 기준, 국민의힘은 제21대 대통령 선거(6월 3일 예정)를 앞두고 김문수(74세) 대선 후보의 자격을 취소하고, 무소속 한덕수(76세, 전 국무총리)를 새로운 후보로 등록하는 초유의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는 김문수와 당 지도부 간 한덕수와의 단일화 협상 결렬과 당원 86.7%의 단일화 찬성 여론에 따른 조치로, 당헌·당규를 근거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선거관리위원회가 5월 10일 새벽 의결했습니다. 김문수는 “불법 쿠데타”라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고, 당 안팎에서 논란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김문수 후보 교체의 배경, 전개 과정, 당내외 반응, 법적 논란, 향후 전망을 다섯 문단으로 정리했습니다. 정보는 2025년 5월 10일까지의 웹 자료와 X 게시물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교체 배경: 단일화 갈등과 당내 압박

 

김문수는 2025년 5월 3일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한동훈(43.47%)을 누르고 56.53% 득표로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습니다. 그는 경선 과정에서 한덕수와의 단일화를 적극 지지하며 “김덕수” 연대를 강조했으나, 선출 직후 당 지도부(권영세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의 단일화 압박에 반발했습니다. 당은 5월 7일 당원 여론조사에서 86.7%가 단일화를 지지하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후보 등록 마감(5월 11일) 전 단일화를 요구하며 전당대회 소집을 추진했습니다. 김문수는 “경선을 왜 했느냐”며 5월 6일 대구·경북 유세 중 일정 중단을 선언하고, 당 지도부의 “기습 전대”를 비판했습니다. 한덕수는 여론조사에서 김문수(19%)를 앞서며(29%, YTN 엠브레인퍼블릭, 5월 6일) 단일화 필요성을 부각시켰으나, 김문수는 “당무우선권”을 주장하며 협상을 지연했습니다. X에서는 “김문수, 당에서 내쫓으려 한다”(@hanitweet, 5월 6일)며 갈등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전개 과정: 가처분 기각과 강제 교체

 

김문수 측은 단일화 강요를 막기 위해 5월 7일 서울남부지방법원에 제6차 전당대회 소집 중지 가처분을, 5월 8일에는 대선 후보 지위 인정 가처분을 신청했으나, 5월 9일 모두 기각되었습니다. 재판부는 “단일화 찬성 여론 80% 이상, 대선 일정 촉박”을 이유로 “김문수의 후보 지위 박탈만을 목적으로 한 조치로 단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가처분 기각 직후, 김문수와 한덕수 측은 5월 9일 네 차례 단일화 협상을 벌였으나, ‘역선택 방지 조항’(김문수: 국민여론조사 100%, 한덕수: 당원 50%+국민 50%) 이견으로 25분 만에 결렬되었습니다. 국민의힘은 5월 10일 새벽 비대위와 선관위를 열어 당헌 제74조2항(상당한 사유 시 후보 교체 가능)과 대통령후보자선출규정 제29조를 근거로 김문수 자격을 취소하고, 한덕수를 입당시켜 후보로 등록했습니다. X에서는 “국힘, 김문수 자격 박탈, 한덕수 등록”(@hanitweet, 5월 10일) 소식이 빠르게 퍼졌습니다.

 

 

 

 

 

 

 


당내외 반응: 분노와 비판 폭발

 

김문수 측은 5월 10일 긴급 기자회견에서 “야밤의 정치 쿠데타, 불법 후보 교체”라며 법적·정치적 책임을 묻겠다고 반발했습니다. 김재원 비서실장은 “헌법, 당헌·당규, 상식에 반한다”며 중앙선관위에 독자적 후보 등록을 예고했습니다. 당내 친한(친한동훈)계와 일부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한동훈 전 대표는 “77만 책임당원의 경선을 무효화한 사기극”이라며 “비대위에 누가 그런 권한을 줬나”고 비판했고, 조경태 의원은 “대국민 사기극, 쿠데타”라고 규정했습니다. 반면, 친윤(친윤석열)계와 지도부는 “당원 86.7%의 단일화 요구를 따랐다”며 정당성을 주장했습니다. 전직 의원 209명은 5월 7일 “지도부의 불법 교체 술수를 삼가라”며 김문수를 지지했으나, 교체 결정 후 침묵하고 있습니다. X에서는 “김문수, 억울하다”와 “한덕수로 승리 가능성 높아졌다”는 엇갈린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법적 논란: 당헌·당규와 정당 민주주의

 

김문수 교체는 당헌·당규 해석과 정당 민주주의를 둘러싼 논란을 낳았습니다. 당헌 제74조2항은 “상당한 사유”로 비대위 의결 시 후보 교체를 허용하지만, “상당한 사유”의 모호성과 당무우선권(제74조, 후보의 당무 주도권) 침해 여부가 쟁점입니다. 황도수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단일화 시기·방식 차이를 ‘상당한 사유’로 보기 어렵다”며 절차적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김문수 측은 “지도부가 당무우선권을 무시하고 불법 전대를 강행했다”고 주장하며 추가 가처분 신청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반면, 지도부는 “단일화 찬성 80% 이상, 등록 마감 임박”을 근거로 “법적 문제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재판부의 5월 9일 기각 결정은 지도부 손을 들어줬으나, 김문수의 독자 등록 시 선관위의 판단이 변수로 남았습니다. X에서는 “법적 싸움, 김문수 승소 가능성 낮아 보인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향후 전망: 대선 판도와 당내 파장

김문수 교체는 6월 3일 대선 판도와 국민의힘 내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한덕수는 5월 10일 후보 등록을 마무리하며 기호 2번으로 선거운동을 시작했지만, 김문수의 독자 출마 시 보수 표 분산 위험이 큽니다. YTN 여론조사(5월 6일)에서 한덕수(29%)는 김문수(19%)보다 이재명(민주당)과의 가상 대결에서 경쟁력이 높았으나, 김문수 측의 법적 대응과 당내 반발(친한계, 강성 보수층)이 변수입니다. 국민의힘은 5월 10일 오전 11시 권영세 비대위원장의 백브리핑으로 교체 배경을 설명할 예정이나, “정당 민주주의 훼손” 비판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김문수는 추가 가처분 신청이나 독립 출마로 저항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보수 진영의 단일화 전략과 대선 결과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X에서는 “한덕수로 바뀌었지만, 국힘 내분 심각하다”는 우려가 퍼지고 있습니다. 이 사태는 한국 정치사에서 전례 없는 후보 교체로 기록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